[종합]정부, 내년 스마트공장 보급 예산 올해보다 2배 확대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ad_1]

연내 스마트 산단 선정…내년 1분기중 산단별 전략수립
김동연 “산단 스마트화로 기업 매출·고용 확대 기대”

【세종·창원=뉴시스】변해정 위용성 기자 = 정부가 내년 스마트공장 보급·고도화 예산으로 올해보다 2.1배 확대한 2700억원을 투입한다.

30억원을 들여 스마트공장 구축 희망기업에 컨설팅을 지원하고 유휴부지를 활용해 산·학·연이 공동 연구·생산할 수 있는 협업공간도 16곳을 조성한다.

스마트 산업단지는 연내 확정짓고, 내년 1분기중 산단별 스마트화 전략을 수립한다.

정부는 31일 경남 창원시에 위치한 자동차부품업체 ㈜경한코리아에서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혁신성장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 산업단지 구축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이 방향은 지난 24일 발표한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의 일환이다.

내년에 스마트공장을 집중 보급·고도화하기 위해 올해 예산의 1300억원보다 2배 넘는 2700억원을 책정했다.

정부는 혁신성장 8대 선도사업의 하나인 스마트공장을 2020년까지 2만개 구축하는 게 목표다. 2014~2017년 4년간 스마트공장 5003개가 지어졌고, 올해 2800개를 구축 중에 있다.

스마트공장의 효과적 구축을 위해 구축 희망기업에 30억원을 들여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한다.

스마트공장 시설투자와 운영에 대한 금융 지원을 강화해 기업의 부담도 덜어준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제조현장 스마트화 지원사업 규모를 올해 3300억원에서 내년 5000억원으로 늘린다.

일부 시중은행에서도 정책금융기관 협약을 통해 스마트공장 우대 금융상품을 내놓는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모델’도 확산해 구축 효과성을 높인다. 상생형 스마트공장 모델은 대·중소기업이 협업해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면 정부가 5000만원 한도로 비용을 지원하게 된다.

지역별 특화된 업종·분야의 스마트공장을 집중 구축할 수 있도록 경남을 포함한 5개 광역지자체가 자체 지원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전문·운영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기반도 확충한다.

스마트공장 설계·운영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내년 교육과정 수료생 400명을 산단 내 기업에 채용한다.

기존 재직자 8000명을 대상으로 직무전환 교육을 실시한다. 경희대·충북대 등 5개 대학 교육과정과 연계한 석·박사급 설계인력 65명도 양성한다.

또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의 제조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해 기업인들이 고도화된 스마트공장(중간 1단계 이상)을 벤치마킹하는 시범·대표공장을 19개 구축한다.

정부는 다음달 중 관계기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스마트 산단 구축 방안을 마련하고, 연내 스마트 산단을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산단별 스마트화 전략은 내년 1분기중 수립한다.

김 부총리는 “산단 스마트화를 통해 결국은 기업의 볼륨(규모)과 매출이 늘고 고용이 늘 것”이라며 “특히 젊은이들에게 적합한 직종의 일을 많이 제공할 수 있어 일자리 정책에 있어서도 큰 관건 중 하나가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ad_2]
Source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