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 못 여는 한국 고령층…평균소비성향 미국의 3분의2 수준 : 100세시대의 동반자 브릿지경제



[ad_1]

구직신청서 작성하는 노인
지난 24일 서울 강동구청에서 열린 2018 강동 취업박람회에서 노인들이 구직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다. (연합)

 

한국 고령층의 평균소비성향이 미국, 일본 등 주요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나라에 비해 고령층의 소득 감소 속도가 빠르고, 그나마 젊은 시절에 모은 자산도 부동산 등에 몰려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국회예산정책처의 ‘2019년 및 경제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60세 이상 고령층의 평균소비성향은 2016년 기준 67.2%다.

이는 미국(104.0%·65세 이상 기준)의 3분의 2, 일본(88.6%)의 4분의 3 수준이다.

평균소비성향은 수입에서 세금, 보험료 등을 빼고 쓸 수 있는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보통 평균소비성향은 소득이 낮은 20~30대에서 높았다가 소득이 증가하는 40~50대에서 낮아진다. 이후 소득이 준만큼 소비가 줄지 않는 60대 이상에서 다시 오른다.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도 고령층에 진입하면서 평균소비성향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한국은 40대의 평균소비성향이 75.9%로 가장 높았다가 50대가 되면 67.9%로 급격히 꺾이고 60세 이상에서 더 떨어졌다. 60세 이상이 전체 연령대 중 평균소비성향이 가장 낮았다.

이는 고령화로 기대 수명은 길어졌지만 한국 고령층의 소득 감소 속도가 더욱 빠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령층이 없는 돈을 쪼개 저축을 늘리고 소비지출을 급격히 줄인다는 의미다.

지난해 기준으로 60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264만5000원으로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411만8000원)의 64.2%에 불과했다.

미국(65세 이상)은 이 비율이 94.5%, 독일(65세 이상)은 88.3%에 달했다. 프랑스(65세 이상)와 룩셈부르크(65세 이상)는 100%를 넘어 오히려 고령층이 처분가능소득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고령층의 자산이 현금화하기 쉬운 금융자산보다 집, 땅 등 실물자산에 몰려 있는 점도 소비 여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60세 이상 가구의 총자산 가운데 금융자산 비중은 18.8%에 불과하다.

한국이 고령화 사회로 급속히 진입한 만큼 평균소비성향이 낮은 고령층이 많아질수록 민간소비 활력은 떨어지게 된다.

다만 예정처는 “중기적으로 기초연금제도 확대 개편으로 고령층 연금소득이 증가하고 고령층 고용이 증가하면서 고령층의 소득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서예진 기자 [email protected]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



[ad_2]
Source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