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_1]
北비핵화 위한 금강산관광·개성공단 재개
동북아철도산업, 보수도 ‘환영’
‘평화=경제?’ 44.5%공감, 아직은 반신반의
|
올해 3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이 숨가쁘게 진행됐다. 이에 따라 우리 국민들의 평화에 대한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투데이가 창간 13돌을 맞아 지난 2~3일, 5일 사흘간에 걸쳐 여론조사 전문기관 알앤써치에 의뢰한 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6명은 정부의 남북 경제 협력 사업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가져올 수 있다고 공감했다.
특히 북한 비핵화 촉진을 위해 금강산관광 재개와 개성공단 재가동,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동아시아철도공동체의 동북아 철도사업에 대해서도 국민 60%가 찬성했다. 다만 문 대통령이 역설한 ‘평화=경제’라는 의제에 대해서는 44.5%가 긍정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지난해 전쟁 위기까지 치닫던 한반도 정세와 비교했을 때 불과 1년 만의 적지 않은 변화를 의미한다. 내년 초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상황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달성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에 국민들이 긍정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남북경협=한반도 평화와 번영’ 국민 10명 중 6명 공감
무엇보다 우리 국민들은 남북 경협에 대해 기대를 거는 것으로 확인됐다. ‘남북 경제 협력 사업이 한반도에 평화와 번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0.6%가 긍정적 답변을 내놨다. 부정평가는 33.3%, 잘 모르겠다는 28.1%였다. 특히 매우 동의한다는 대답이 40.8%로 동의하는 편(19.7%)보다 2배 이상으로 나타나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문 대통령 지지 계층인 304050세대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30대 70.1%, 40대 68.1% 로 높았고 50대도 59%로 조사됐다. 또 진보층에서는 중도진보 81.5%, 진보 77.0%가 압도적으로 찬성했다. 보수층에서도 31.3%가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이는 남북 경협을 ‘경제’ 보다 안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북한의 경제 지원 차원으로 보는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 비핵화 위한 금강산관광·개성공단 재개도 압도적 찬성
북한의 비핵화 촉진을 위한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가동 재개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62.4%가 찬성했다. 반대(33.7%)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았다. 다만 남북 경협과 함께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가동 재개 문제는 대북제재 사안으로 국제 사회의 제재 완화가 필요하다. 지역별로는 호남에서 73.8%로 찬성이 가장 높았다. 금강산관광 재개와 개성공단 재가동이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에서 출발했고 노무현정부가 계승·발전시켰다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강원·제주(69.3%)와 경기·인천(64.5%)이 그 뒤를 이어 높게 나왔다. 북한과 최접경 지역인 이곳 지역경제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보수층 중 순수 보수층에서 반대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지만 중도 보수층에서는 찬성(48.7%)과 반대(49.8%) 의견이 팽팽했다. 북한 비핵화에 따른 남북 대치 국면보다는 평화와 경제 번영을 선호하는 것이 뚜렸했다.
◇‘평화=경제?’ 아직은 반신반의 신중론
다만 ‘평화=신(新)경제동력’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4.5%가 공감해 다소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답변 27.4%, 잘 모르겠다는 응답 28.1%로 다소 높았다. 정부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최종 목표로서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역설한 점에서 국민들이 어느 정도 공감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남북 평화 무드가 실질적인 경제 발전으로 이어질 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반신반의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북·미간 비핵화 협상이 갈 길이 멀고 북한에 대한 불신도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동북아철도산업, 보수도 ‘환영’…고립된 섬에서 대륙으로
하지만 문 대통령이 지난 광복절 경축사에서 제안한 동북아와 유럽을 잇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와 관련해 구체성을 띠기 시작한 동북아철도사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8.0%가 찬성했다. 특히 보수층으로 분류되는 60살 이상과 부산·경남(PK), 대구·경북(TK) 등에서도 반대보다 찬성이 높았다. 동북아철도사업은 분단 이후 대륙으로 가는 길이 끊기면서 섬 아닌 ‘섬’으로 고립됐던 역사를 끊어낸다는 의미에서 보수층에서도 긍정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철도사업으로 인한 건설업 등의 활황을 기대하는 심리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ad_2]
Source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