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업신문]‘엔트레스토’, 심부전서 에날라프릴 대비 이점 월등



[ad_1]

노바티스가 자사의 만성 심부전 치료제 엔트레스토®(성분명 사쿠비트릴/발사르탄)가 급성 심부전으로 입원 후 안정화된 심박출률이 저하된 심부전 환자에서 에날라프릴(Enalapril) 대비 월등한 치료 이점을 보인다는 PIONEER-HF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결과는 11월 10일부터 12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됐으며, 발표와 동시에 세계적인 의료 학술지인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게재됐다.

PIONEER-HF 연구 결과, 엔트레스토 치료 환자는 4주 및 8주 시점에 심부전 중증도 평가와 예후 평가에 사용되는 바이오마커인 NT-proBNP 수치(시간 평균, 1차 유효성 평가 기준)가 에날라프릴 대비 29% 감소했다. (95% CI: 0.63, 0.81; P<0.0001)

NT-proBNP의 유의한 감소는 치료 시작 1주 후부터 확인됐으며, 급성 심부전으로 입원하여 안정화 후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을 새롭게 진단 받은 환자, ACEi/ARB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 아프리카계 미국인 등 다양한 심박출률 감소 환자군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또 사전 정의된 PIONEER-HF의 탐색적 분석 결과, 엔트레스토 치료 환자는 8주 동안 에날라프릴 대비 사망, 심부전 재입원(입원 기간 24시간 초과), 좌심실 보조장치 삽입 또는 심장 이식 등록 필요 등의 복합 위험이 46% 감소했다.

해당 결과는 주로 엔트레스토 치료 환자 중 사망 혹은 심부전으로 인한 재입원 감소로 확인됐으며, 안전성에 문제가 될 만한 새로운 결과는 없었다.

질환 악화로 입원이 필요한 심부전 환자는 단기간의 사망 또는 재입원 위험이 높다. PIONEER-HF 연구를 통해 해당 환자군에서 엔트레스토 내약성이 에날라프릴과 유사하며, 이들이 안정화된 직후 안전하게 치료를 시작할 수 있음이 입증됐다.

저혈압, 고칼륨혈증, 신장 합병증 비율은 유사했으며, 혈관부종 위험 역시 높지 않았다. 안전성 프로파일은 PARADIGM-HF에서 확인된 것과 유사했으며, 안전성에 문제가 될 만한 새로운 결과는 없었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강석민 교수는 “급성 심부전 환자의 상태가 안정화 된 직후 엔트레스토 사용이 심부전 환자의 이러한 복합적 위험 변수를 에날라프릴 대비 유의하게 낮춰 준다는 이번 PIONEER 연구의 결과는 잦은 입원을 반복하는 심부전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들의 큰 주목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ad_2]
Source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