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_1]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포스텍 연구진이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가 염증 억제 기능을 잃어버리는 이유를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조절 T세포는 다른 면역 세포 활성화를 억제해 인체 내 면역체계 항상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다발성 경화증이나 류머티즘성 염 환자에게선 조절 T세포 수가 줄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염증 환경에선 아예 조절 T세포가 염증을 악화하는 형질로 변해 버린다.
그러나 조절 T세포 형질이 어떤 이유로 바뀌게 되는지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었다.
임신혁 교수(포스텍 생명과학과·융합생명공학부)와 디파얀 루드라 연구위원 연구팀은 다발성 경화증과 천식 알레르기 등 염증성 질환에서 조절 T세포가 면역 억제 기능을 잃고 외려 염증을 매개하는 세포로 변환할 때, Id2 단백질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조절 T세포에서 Id2를 과발현한 실험군의 경우 다발성 경화증 증상이 더 심해졌다.
암 환경에서의 조절 T세포 역할을 규명하고자 피부암에 걸린 생쥐를 대상으로 Id2 발현을 증가시키는 조절 T세포를 유도했더니, 흑색종 크기가 대조군보다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암 환경에서는 자가 면역질환과는 반대로 조절 T세포 수가 감소하고 기능이 적어져야, 항암 효과가 나타난다.
이번 연구는 면역 억제 기능을 갖는 조절 T세포 가소성(변형이 남는 성질)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인 Id2를 찾고, 그 작용 원리를 규명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임신혁 교수는 “Id2 발현을 선택적으로 조절해 조절 T세포가 상황에 맞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면 자가 면역이나 암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연구단 폐지가 결정됐으나, 장비와 무균·무 항원 연구 인프라가 유지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9일 자에 실렸다.
[연합뉴스] Copyrights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Source link